◐ 先代로 부터 내려오는 연령별 이칭(異稱)을 아십니까 ? ◑
15세 志學(지학)~孔子(공자)가 15세에 학문에 뜻을 두었다는데서 온말
16세 二八(이팔)~이팔청춘의 줄임 말로서 16 세 전후의 나이를 일컬음.
20세弱冠(약관)~남자나이 20세를 일컬음[弱 : 어릴약&젊을약 을뜻함]
30세而立(이립)~孔子가 30세에 뜻이 확고하게 섯다는데서 온 말입니다
40세不或(불혹)~공자가 40이되어 세상일에 미혹(迷或)되지 않았다는뜻
50세知天命(지천명)~나이 50이 되어서야,하늘의 뜻을 알게 되었다는것.
51세望六(망육)~예순을 바라보는 뜻으로 쉰한살을 일컬음
60세耳順(이순)~六旬:열이 여섯으로 육십갑자를 모두누리는 마지막 뜻
61세還甲(환갑)~60甲子중 한바퀴돌아온61세를 일컬음.回甲이라고도함.
" 望七(망칠)~일흔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예순한살을 지칭하기도 함
62세進甲(진갑)~환갑 다음해의 생일,육십갑자가 펼쳐저 진행한다는의미
66세美壽(미수)~옛날엔66세를 의식 않았으나 요즘,77,88,99날처름 챙김
70세古稀(고희)~杜甫(두보)가 曲江(곡강)이란 詩에서,人生70古來稀라고
" 從心(종심)~七旬(칠순)마음내키는데로해도 법도에어긋남이 없다고
71세望八(망팔)~팔십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일흔한살을 지칭합니다.
77세喜壽(희수)~기쁠희(喜)자의 초서체 희 자가 七+七과 같은데서온 말
80세傘壽(산수)~우산산(傘)자의 속(俗)자인 산자를 나누면80이되는데서
81세望九(망구)~구십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여든한살을 일컬음
88세米壽(미수)~쌀미(米)자를 풀어보면 위아래 八+八이 합쳐저서 된것
90세卒壽(졸수)~졸(卒)자의 획수를 줄여 졸로 쓴데서 유래 한것입니다.
91세望百(망백)~나이,백을 바라본다는 뜻에서 아흔한살을 일컬음
99세白壽(백수)~일백백(百)에서 一을 빼면 99가 되고 흰백자(白)가 됨
※참고: 아주 드문일이지만 나이 70을 희수(稀壽)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