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늦기전에 그린시티 조성을 적극 추진해야 합니다 !
수년전 백로를 띄워보낸 가을초입에 유럽 투어도중 특별히 느낀점을 소개하면서
녹색건축을 만들고 청색도시를 만들자는 운동에 동참하게 된것도 우연이 아님을 말씀드립니다.
에펠탑에서 내려다본 풍광은,재건축은 원천적으로 봉쇄된듯 하였고 초록빛 가로수 그늘 아래
물흐르듯이 움직이는 작은차들을 보면서 잔잔한 감동을 받은바 있었습니다.우린 어떻습니까?
랜드마크를 앞세워 건폐율을 우선 따지고 철근 콩크리트로 도배를 하고있는 우리네 건축 문화
또 간판문화는 언제까지 근대화에 박차를 가해야 하는지를 그끝이 보이질 않는것 같습니다~
인자 삶의 질과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해서라도 더늦기전에 그린시티 조성을 추진해야 합니다.
살펴보면,선진국을 비롯한 각 나라에서는 도시환경을 공원과 녹지면적을 높여 쾌적한 삶의질과
여가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정부차원의 종합 대책수립과 시행방안이 추진되고 있으며,도시환경면에서 시민이 쾌적한 녹지 생활공간에서 삶을 영위할수있는 방안이 강구 되고있는 현실입니다
첫째,도시계획부문에서는
친환경 녹색도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우선,개발예정지역의 면적중 공원 녹지면적과 친수공간
을 일정비율 이상으로 조성토록하여 도시민의 삶의 질과 환경 친화성을 높여 나가야한다고 봅니다.
둘째,건설시공및 관리부문 관점에서는
도시내 탄소발생을 억제하는 시공기술및 현장관리 기술에관한 지침을 마련토록하여 공사현장
에서 적극 도입해야 할것이며,나아가 건설자재 생산,기계이용,폐기물 발생량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탄소발생량 원단위를 개발토록 하여 현장에 적용할수 있도록 해야 할것입니다.
셋째,건축부문에서는
관계처 통계수치를 미루어볼때 이산화탄소 발생 총량중에서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비중이 대략
35% 내외라는 통계가 나오고 있음은 건축물의 탄소 탄소발생량을 감축하기위한 제도적 장치가
뒤따라야 한다고 봅니다.이를 위해선 건축물 에너지 효율 등급제도,에너지 성능지표 등을 통해
건축물 부분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 탄소 감축을 통한 환경 개선을 도모해야 할것입니다.
넷째,신재생 에너지 도입및 에너지 효율화 측면에서는
신재생 에너지인 태양광,지열.폐기물 에너지,바이오 에너지,연료전지등을 단계적으로 확대도입
하여 석탄 석유등 이산화탄소 배출 연료 비중을 대폭 낮추어야 할것입니다.
또한편 에너지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공공청사등에 에너지 효율이 높은 LCD조명을 단계적
으로 의무화하고 열병합 발전소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통해 설비효율을 극대화해야 함
다섯째,도시 수목심기로 녹지공간 마련과 하천 습지조성 확대로
도심지및 가로변에 나무심기를 확대하여 이산화탄소 흡수및 도시환경을 청정화해 나가야 한다
고 봅니다,이를위해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높은 상수리나무,신갈나무 등을 환경 정화수 심기를
시민들에게 계몽토록하여 확대하여야 할것이며,나아가 도심하천및 제방뚝 부근에 제방수림대
와 생태습지를 조성,오염물질을 흡수하고 도시민 여가공간을 적극 마련해 나가야 할것입니다.
☞ 푸르름 건축과 청색도시 시현을 위해 녹청인 모두 앞장서야 할때인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