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신문]일에 대한 ‘열정’은 여전했다.
취임 100일을 넘긴 석호익(54)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은 “시간을 쪼개 IT와 관련한 외부 강연을 종종 한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묻지도 않았는데 집무실 원탁에 어지러이 널려있는 강의 자료들을 소개했다. 그는 이런 사람으로 얘기된다. 집무실 분위기도 깔끔하게 정리된 여느 기관장들과 다르다.
“취임 이후 먼저 바꾼 것이 무엇입니까?” 하고 물었더니,“조직을 IT정책 부처인 정통부와 연계해 개편한 것”이라고 밝혔다. 정책 연구기관에게는 관련 정책에 대한 기여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뜻이라고 했다.
KISDI는 최근 조직 개편에서 본연의 연구기능 강화 외에 정통부의 조직 체제를 많이 반영했다. 이런 이유로 대부분의 부서 명칭에 ‘정책’이란 단어를 집어 넣었다. 정통부와 동질감을 가져야 한다는 그의 지론 때문이다.
조직 개편의 골자는 정책 기여도를 중시했고 핵심 연구 역량을 강화한 것이다. 예컨대 FTA 등 IT통상협상의 이슈화가 예견되면 그에 대해 연구를 집중하고, 통신·방송융합 추세에도 연구 역량을 집중한다는 말이다.
그는 ‘참’ 부지런하다. 정통부 시절 일의 집착력이 커 간혹 오해를 받기도 했다. 또한 ‘5척 단신’이다. 몸집 작은 이가 그렇듯 그의 집무 스타일은 ‘집요함’과 ‘야무짐’이다.
석 원장은 “(정통부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쳐) KISDI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알고 있다.”고 밝혔다. 국장 시절엔 이곳에 파견돼 근무한 적이 있어 업무가 낯설지 않다고도 했다. 일등 국책연구기관으로 거듭나겠다고 선포한 그의 행보가 주목되는 대목이다.
석 원장은 영남대를 졸업, 서울대 행정학 석사, 성균관대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행정고시 21회 출신. 정통부 정보통신지원국 국장, 서울체신청장, 정보화기획실장, 기획관리실장, 정책홍보관리실장을 지냈다.
정기홍기자 hong@seoul.co.kr
“새 감각 바른 언론”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